 |
|
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
글쓴이 |
메시지 |
김찬민
가입: 2010년 9월 6일 올린 글: 81
|
올려짐: 2014년9월22일 0:17 주제: hw2 테스트케이스 같이 추가해봅시다. |
|
|
과거 포럼
https://ropas.snu.ac.kr/phpbb/viewtopic.php?t=54
https://ropas.snu.ac.kr/phpbb/viewtopic.php?t=3194
https://ropas.snu.ac.kr/phpbb/viewtopic.php?t=3703
https://ropas.snu.ac.kr/phpbb/viewtopic.php?t=3807
https://ropas.snu.ac.kr/phpbb/viewtopic.php?t=3809
1.
코드: | checkMetro ( CONNECT (AREA ("a", STATION "a"), AREA ("b", AREA("a", CONNECT(STATION "b", STATION "a")))))
checkMetro ( CONNECT (AREA ("c", STATION "c"), AREA ("b", AREA("a", CONNECT(STATION "b", STATION "c")))))
|
2.
3.
4.
galculator로 PI 값도 계산할 수 있어서 만들어 봤습니다.
코드: | galculator (INTEGRAL(INT 0, INT 100000, DIV (SUB(MUL(INT 16, DIV(X, INT 100000)), INT 16),ADD(SUB(MUL(MUL(DIV(X, INT 100000),DIV(X, INT 100000)),MUL(DIV(X, INT 100000),DIV(X, INT 100000))), MUL(MUL(INT 2,DIV(X, INT 100000)),MUL(DIV(X, INT 100000),DIV(X, INT 100000)))) , SUB(MUL(INT 4, DIV(X, INT 100000)), INT 4) ) ) ))
galculator(SIGMA(INT 1, INT 1000000, DIV(INT 8, MUL(SUB(MUL(INT 2, X), INT 1),SUB(MUL(INT 2, X), INT 1)))))
|
코드: | 314159.46535597858
9.86960240108985332
|
|
|
위로 |
|
 |
정민종
가입: 2010년 9월 20일 올린 글: 8
|
올려짐: 2014년9월22일 2:00 주제: |
|
|
위 링크의 테스트 셋 중 숙제 2-2의 테스트 케이스인
코드: | val myHeap = insert(3, insert(1, insert(2, insert(7, insert(6, insert(4, insert(5, EMPTY)))))))
|
이 입력의 결과가
코드: | val myHeap: heap
= NODE
(1, 1,
NODE
(0, 2,
NODE
(1, 4, NODE (0, 5, NODE (0, 6, EMPTY, EMPTY), EMPTY),
NODE (0, 7, EMPTY, EMPTY)),
EMPTY),
NODE (0, 3, EMPTY, EMPTY))
|
이렇게 나오는 것이 정상인가요?
제가 잘못 생각한 것인지 다르게 나오는데... |
|
위로 |
|
 |
김찬민
가입: 2010년 9월 6일 올린 글: 81
|
올려짐: 2014년9월22일 11:29 주제: |
|
|
2-2의 경우 구조는 달라도, leftiest heap의 조건만 만족하면 문제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의미있는 테스트가 되기 위해서는 구조를 출력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operation들이 바르게 결과를 돌려주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구체적으로는 deleteMin, insert, merge 등을 사용해서 최소 원소가 바르게 튀어나오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케이스가 의미가 있겠지요.
굉장히 간단한 거 하나 올려봅니다.
코드: | findMin(insert(3, EMPTY)) |
|
|
위로 |
|
 |
정민종
가입: 2010년 9월 20일 올린 글: 8
|
올려짐: 2014년9월22일 18:15 주제: |
|
|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
위로 |
|
 |
김찬민
가입: 2010년 9월 6일 올린 글: 81
|
올려짐: 2014년9월26일 1:17 주제: |
|
|
6번 간단한 테스트 추가합니다.
코드: | Zexpr.int_of_value(Zexpr.eval(Zexpr.emptyEnv, (Zexpr.NUM 1)))
let xpx = Zexpr.PLUS((Zexpr.VAR "x"),(Zexpr.VAR "x")) in
let e1 = Zexpr.LET("x", (Zexpr.NUM 1), (Zexpr.PLUS (Zexpr.LET("x", xpx, xpx), (Zexpr.VAR "x")))) in
Zexpr.int_of_value(Zexpr.eval(Zexpr.emptyEnv, e1))
Zexpr.int_of_value(Zexpr.eval(Zexpr.emptyEnv, (Zexpr.MAX [])))
Zexpr.int_of_value(Zexpr.eval(Zexpr.emptyEnv, (Zexpr.MAX [Zexpr.NUM (-1)])))
|
코드: |
- : int = 1
- : int = 5
- : int = 0
- : int = -1
|
|
|
위로 |
|
 |
이성환
가입: 2014년 9월 9일 올린 글: 34
|
올려짐: 2014년9월28일 12:12 주제: |
|
|
ocaml 실행기에서 작성한 코드를 열어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작성한 과제 파일이 ex1.ml 일때 실행기에서 open Ex1;; 한 뒤 함수를 호출하여도 알 수 없는 에러메세지만 발생해서..ㅠㅠ
테스트 코드를 직접 ml 파일 내에 포함시켜 실행하는 것보다 조금 더 편리한 방법은 없을까요? |
|
위로 |
|
 |
심규민
가입: 2010년 10월 2일 올린 글: 21
|
올려짐: 2014년9월28일 12:26 주제: |
|
|
이성환 씀: | ocaml 실행기에서 작성한 코드를 열어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작성한 과제 파일이 ex1.ml 일때 실행기에서 open Ex1;; 한 뒤 함수를 호출하여도 알 수 없는 에러메세지만 발생해서..ㅠㅠ
테스트 코드를 직접 ml 파일 내에 포함시켜 실행하는 것보다 조금 더 편리한 방법은 없을까요? |
실행기를 다음과 같이 실행하시면 됩니다.
|
|
위로 |
|
 |
이성환
가입: 2014년 9월 9일 올린 글: 34
|
올려짐: 2014년9월28일 12:55 주제: |
|
|
심규민 씀: |
실행기를 다음과 같이 실행하시면 됩니다.
|
감사합니다! |
|
위로 |
|
 |
선동성
가입: 2014년 9월 3일 올린 글: 8
|
올려짐: 2014년9월30일 1:35 주제: |
|
|
3.
빈 노드가 없는 것 같아 추가해 봅니다.
코드: | goDown(LOC(NODE[],TOP));; |
결과는 이렇게 나옵니다
코드: | Exception: NOMOVE "empty node". |
|
|
위로 |
|
 |
명경백
가입: 2010년 9월 6일 올린 글: 6
|
올려짐: 2014년9월30일 21:20 주제: 주제: 감사합니다. |
|
|
내용: 감사합니다. |
|
위로 |
|
 |
|
|
새로운 주제를 올릴 수 없습니다 답글을 올릴 수 없습니다 주제를 수정할 수 없습니다 올린 글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 투표를 할 수 없습니다
|
Powered by phpBB 2.0.21-7 (Debian) © 2001, 2005 phpBB Group Translated by kss & drss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