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
글쓴이 |
메시지 |
강지훈
가입: 2008년 9월 2일 올린 글: 291 위치: 302동 312-2호
|
올려짐: 2009년4월5일 23:05 주제: 정의되지 않은 연산을 어떻게 처리할까요? |
|
|
조교님 씀: | 숙제를 구현하시다보면 질문할 사항들이 많이 있게 되는데, 그런
질문들이 보이지 않아서 조교로서 의아함과 아쉬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저는 "Loc 타입의 값과 Int 타입의 값을 더하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If문의 조건절에 Loc 타입의 값이 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와 같은
질문들이 올라올 것을 예상하였는데 묻는 분이 없군요. 다들 어떻게
처리하고 계신가요?
|
제 인터프리터는 타겟 프로세스가 (단 하나의 실행 경로에서라도) 허용되지 않는 연산을 수행할 경우, 그냥 뻗어버립니다.
예를 들어
코드: |
z := 0;
if read
z := 1
(if &z z := 2 z := 2)
|
이나
코드: |
z := 1;
if z + (&z)
z := 2
z := 3
|
를 만나면 처리하지 못하고 프로그램이 죽는데요,
이런 예외처리는 [strike]우리와 같은 작은 숙제에서는 하지 않는 것이 인지상정이겠죠 ^^????[/strike] 어떻게 처리하고 계신가요?
--
몰아치는 숙제의 쇠사슬을 끊어내어서 행복하세요! _________________ 강지훈
프로그래밍의 원리 조교
Jeehoon Kang
TA, Principles of Programming |
|
위로 |
|
 |
이우석
가입: 2007년 9월 26일 올린 글: 72
|
올려짐: 2009년4월6일 10:40 주제: exception 떠요~ |
|
|
저같은 경우는 값을 구하는 과정에서 exception이 처리되게 했어요~ 공 조교님한테는 인지상정 이런거 안먹힐거 같아서 ㅎㅎㅎ; |
|
위로 |
|
 |
공순호
가입: 2005년 9월 29일 올린 글: 363 위치: 302동 312-2호
|
올려짐: 2009년4월6일 11:09 주제: |
|
|
필요할 때에 k.ml에 정의되어 있는데
코드: |
exception Error of string
|
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강지훈 씀: |
우리와 같은 작은 숙제에서는 하지 않는 것이 인지상정이겠죠
|
잘못될 것을 알게 되었다면, 그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엔지니어로서의 인지상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작은 숙제와 큰 숙제 대해서는 '루가복음 16장 10절'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우석 씀: |
공 조교님한테는 인지상정 이런거 안먹힐거 같아서 ㅎㅎㅎ;
|
숙제 채점을 엄격하게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조교로서의 책임감도 있지만
여러분에게 애정이 있어서 하는 일입니다.  _________________ - soon@ropas |
|
위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