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
글쓴이 |
메시지 |
박면규
가입: 2009년 9월 16일 올린 글: 11
|
올려짐: 2010년10월26일 22:09 주제: 숙제 5-2 react의 인풋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
|
|
코드: | ((K E) E') -> E
(((S E) E') E'') -> ((E E'') (E' E'')) |
문제에 보면 위에 처럼 정의가 되어 있는데요
인풋이 (K E) 만 들어온다면, E를 출력해야되나요 아니면 (K E) 이렇게 그대로 출력해야 되나요 아니면 에러를 내야되나요?
S도 역시 ((S E) E') 이나 (S E) 형태의 입력이 들어온다면 에러를 내야되나요 아니면 따로 처리를 해줘야되나요? |
|
위로 |
|
 |
김태훈
가입: 2010년 9월 6일 올린 글: 91
|
올려짐: 2010년10월26일 22:42 주제: |
|
|
저도 그 점이 궁금해서 들어왔는데 말이죠 ㅎㅎ
(I E)
((K E) E')
(((S E) E') E'')
이 형식에 맞는 부분이 용액에 있으면 바꿔주되 맞는 부분이 없으면 그냥 놔두는게 맞는지요?
그리고
isS? isK? isI? 는 용액이 저 위의 형식을 각각 따르는 건지 검사하는게 맞겠죠? ㅎㅎ |
|
위로 |
|
 |
노준혁
가입: 2010년 9월 6일 올린 글: 15
|
올려짐: 2010년10월27일 0:47 주제: |
|
|
인용: | 인풋이 (K E) 만 들어온다면, E를 출력해야되나요 아니면 (K E) 이렇게 그대로 출력해야 되나요 아니면 에러를 내야되나요? |
그대로 출력해주는게 맞지 않을까요..?
위의 정의들은 반응을 하는 경우고
반응을 하지 않는 용액끼리 섞이는 경우도 있을테니까요
인용: | isS? isK? isI? 는 용액이 저 위의 형식을 각각 따르는 건지 검사하는게 맞겠죠? ㅎㅎ |
그냥 단순히 S, K, I를 판별해주는게 아닐까요 ㅎㅎ
예를 들어 (isS? S) 일 때 #t를 리턴해주는거죠..
한가지 더 예를 들자면 (((S E) E') E'') 의 경우
isa? 의 인자로 오면 #t이고 isS? 의 인자로 오면 #f 를 리턴해 주는게 아닐까 싶네요 |
|
위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