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인덱스

 
 FAQFAQ   검색검색   멤버리스트멤버리스트   사용자 그룹사용자 그룹   사용자 등록하기사용자 등록하기 
 개인 정보개인 정보   비공개 메시지를 확인하려면 로그인하십시오비공개 메시지를 확인하려면 로그인하십시오   로그인로그인 

수업 내용 관련 질문드려요

 
글 쓰기   답변 달기     게시판 인덱스 -> 4190.310 Programming Languages (Fall 2014)
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글쓴이 메시지
김민석



가입: 2012년 9월 15일
올린 글: 40

올리기올려짐: 2014년9월19일 20:10    주제: 수업 내용 관련 질문드려요 인용과 함께 답변

pl-book-draft 31페이지의 증명 규칙에서요
귀납 규칙들을 분수로 표현하고 그에 대한 설명이 다음과 같은데요.

(Γ,f)쌍들의 집합을 만드는 규칙들이다. 특히, “Γ에 있는 모든 논리식들이 참
이면 f는 참”인 경우에 (Γ,f)를 만들어 내는 규칙들이다.

이 부분이 이해가 잘 안갑니다.

첫번째 귀납 규칙을 예로 들어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위로
사용자 정보 보기 비밀 메시지 보내기
강동옥



가입: 2009년 9월 18일
올린 글: 602

올리기올려짐: 2014년9월20일 15:50    주제: 형식 논리 수업 내용 관련 인용과 함께 답변

우선, f는 논리식이고, Γ는 논리식의 집합입니다. 이제 교재의 표현을 보면,

인용:
(Γ,f)쌍들의 집합을 만드는 규칙들이다. 특히, “Γ에 있는 모든 논리식들이 참
이면 f는 참”인 경우에 (Γ,f)를 만들어 내는 규칙들이다.


순서쌍 (Γ, f)을 "Γ에 있는 모든 논리식들이 참 이면 f는 참"이라는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할 때, (Γ, f)의 집합을 만드는 방법을 표현하는 규칙이라는 뜻입니다.

분수 표현에서 분자는 조건을 (~일 때), 분모는 결론(~이다)을 나타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첫번째 에제에서, 아무런 조건이 없어도 (분자가 비어도), T는 언제나 참(true)이기 때문에 임의의 Γ에 대해서 (Γ, f) 가 성립합니다.

두번째 예제도 살펴보겠습니다. f가 Γ 의 원소라면, 당연히 Γ의 모든 원소가 참이라면 f도 참입니다. 따라서 정의에 의해서 (Γ, f) 가 성립합니다.
위로
사용자 정보 보기 비밀 메시지 보내기
김민석



가입: 2012년 9월 15일
올린 글: 40

올리기올려짐: 2014년9월20일 16:58    주제: 인용과 함께 답변

그렇다면 증명규칙의 의의는 무엇인가요?

각각의 규칙들의 증명방식 같은 것은 대략 이해가 가는데 증명규칙을 왜 배우는지 궁금합니다.
위로
사용자 정보 보기 비밀 메시지 보내기
강동옥



가입: 2009년 9월 18일
올린 글: 602

올리기올려짐: 2014년9월22일 16:09    주제: 인용과 함께 답변

형식 논리는 사람의 말을 기호로 옮긴다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A이거나 B일때 C이고 D이면 A이거나 E이고 E이고 A이면 B일때 C가 성립한다."

이런식으로 말로 나열하면 에매한 부분도 생기고 너무 번거롭습니다.

형식논리는 이러한 애매한부분을 제거해주며, 단순히 규칙표의 규칙을 적용하며 명료하게 논리가 참인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규칙표에 있는 규칙들은 사람 말로 풀어보면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간단한 규칙들입니다.
이것을 토대로 형식적인 조합만으로 복잡한 논리식이 말이 되는 논리식임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위로
사용자 정보 보기 비밀 메시지 보내기
이전 글 표시:   
글 쓰기   답변 달기     게시판 인덱스 -> 4190.310 Programming Languages (Fall 2014) 시간대: GMT + 9 시간(한국)
페이지 11

 
건너뛰기:  
새로운 주제를 올릴 수 없습니다
답글을 올릴 수 없습니다
주제를 수정할 수 없습니다
올린 글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
투표를 할 수 없습니다


Powered by phpBB 2.0.21-7 (Debian) © 2001, 2005 phpBB Group
Translated by kss & drss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