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
글쓴이 |
메시지 |
신지민
가입: 2015년 9월 3일 올린 글: 9
|
올려짐: 2015년10월11일 3:19 주제: 숙제 3-1 질문입니다. |
|
|
안녕하세요, 조교님
뼈대 코드에서 type value 부분을 보면
Record of (id -> Loc.t )
부분이 있는데
id->Loc.t 의 list가 되어야 하는 거 아닐까요? ㅠㅠ
record 값은 메모리 주소의 모음이라고 배워서
r이라는 record가 있으면 거기 속한 x,y,z에 대한 주소값을 전부
들고 있어야 할 것 같은데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 |
|
위로 |
|
 |
민세원
가입: 2015년 9월 17일 올린 글: 10
|
올려짐: 2015년10월11일 14:08 주제: 함수 |
|
|
함수니까 괜찮지 않을까요? id가 key 역할을 해서 그 아이디에 해당하는 location을 알려주는 함수라고 본것 같아요 |
|
위로 |
|
 |
최재승
가입: 2012년 9월 10일 올린 글: 211
|
올려짐: 2015년10월11일 17:53 주제: |
|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대로 record는 메모리 주소(loccation)의 모음이 맞습니다.
조금 더 정확히는, 각 필드마다 메모리 주소를 가지고 있는 map이 되겠습니다.
이러한 record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id * Loc.t) 의 list로 구현할 수도 있고 -
코드: | [(x, l_1); (y, l_2); (z, l_3)] |
위에 다른분이 답변해 주셨듯이 id -> Loc.t 의 함수로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x를 인자로 받으면 l_1이 나오고, y를 인자로 받으면 l_2가 나오는 함수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두 구현 모두 나타내고자 하는 것은 똑같습니다. 뼈대코드에서는 K- 언어 정의 문서의 내용을 반영하여 함수로 구현되어 있을 뿐입니다.
민세원 님도 답변 감사합니다.
조교 드림 |
|
위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