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
글쓴이 |
메시지 |
공순호
가입: 2005년 9월 29일 올린 글: 363 위치: 302동 312-2호
|
올려짐: 2005년9월29일 19:35 주제: 숙제 6번 '합하기' |
|
|
숙제 스펙에는
"두개의 큐 합하기는 첫번째 큐의 뒤에 두번째 큐가 붙는 것을 뜻한다."라고 되어있는데요.
김진현님께서 올려주신 test set에 있는
코드: | val q1 = _정수리스트_큐.넣기(_정수리스트_큐.빈큐, [1]);;
val q2 = _정수리스트_큐.넣기(_정수리스트_큐.빈큐, [2]);;
val q3 = _정수리스트_큐.넣기(_정수리스트_큐.빈큐, [3]);;
val q4 = _정수리스트_큐.넣기(_정수리스트_큐.빈큐, [4]);;
val q12 = _정수리스트_큐.합하기(q1, q2);;
val q34 = _정수리스트_큐.합하기(q3, q4);;
val q = _정수리스트_큐.합하기(q12, q34);;
val (t1, t2) = _정수리스트_큐.빼기(q);;
val (t1, t2) = _정수리스트_큐.빼기(t2);;
val (t1, t2) = _정수리스트_큐.빼기(t2);;
val (t1, t2) = _정수리스트_큐.빼기(t2);;
val (t1, t2) = _정수리스트_큐.빼기(t2);; |
를 실행했을 때에 어떤 결과가 나오는 것이 옳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
|
위로 |
|
 |
김진현

가입: 2005년 9월 20일 올린 글: 91 위치: SNUCSE OPT. lab.
|
올려짐: 2005년9월29일 19:40 주제: |
|
|
저도 이부분은 조금 모호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합치는 것은 큐 라고 생각해보면 이게 맞지 않을까요?
우리가 `표현' 하는 방식인 배열이 아니라요.
으음.. 다시 생각해보니 어느 쪽도 딱히 자연스럽진 않은 것 같은데.
조교님께서 답변 해 주셨으면.... :$ _________________ The kingdom of heaven has been forcefully advancing, and forceful men lay hold of it. |
|
위로 |
|
 |
김덕환
가입: 2005년 8월 29일 올린 글: 190
|
올려짐: 2005년9월29일 20:30 주제: _큐_.합치기 |
|
|
왼쪽 큐의 원소가 먼저 나오고, 그 다음 오른 쪽 큐의 원소가 나옵니다. 원소들 간의 순서는 합치기 전의 순서를 그대로 따릅니다.
코드: |
# val (t1, t2) = _정수리스트_큐.빼기(q);;
val t1: int list = [1]
val t2: _정수리스트_큐.큐 = <abstr>
# val (t1, t2) = _정수리스트_큐.빼기(t2);;
val t1: int list = [2]
val t2: _정수리스트_큐.큐 = <abstr>
# val (t1, t2) = _정수리스트_큐.빼기(t2);;
val t1: int list = [3]
val t2: _정수리스트_큐.큐 = <abstr>
# val (t1, t2) = _정수리스트_큐.빼기(t2);;
val t1: int list = [4]
val t2: _정수리스트_큐.큐 = <abstr>
# val (t1, t2) = _정수리스트_큐.빼기(t2);;
Exception: _정수리스트_큐._빈큐라고요.
|
단순히 (왼쪽 큐의 왼쪽 리스트) 뒤에다 (오른쪽 큐의 왼쪽 리스트)를, (왼쪽 큐의 오른쪽 리스트) 뒤에다 (오른쪽 큐의 오른쪽 리스트)를 붙이는 건 큐 자료구조 관점에서 아무런 의미가 없는 연산 아닌가요? 셔플 기능?  _________________ TheyAreAsSmartAsYouAre |
|
위로 |
|
 |
|
|
새로운 주제를 올릴 수 없습니다 답글을 올릴 수 없습니다 주제를 수정할 수 없습니다 올린 글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 투표를 할 수 없습니다
|
Powered by phpBB 2.0.21-7 (Debian) © 2001, 2005 phpBB Group Translated by kss & drss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