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
글쓴이 |
메시지 |
김찬민
가입: 2010년 9월 6일 올린 글: 81
|
올려짐: 2014년10월7일 17:33 주제: 숙제 3: write에서 빈 줄을 출력하지 않으니 결과가 애매해집니다. |
|
|
공지 글에서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인용: | 1) read semantics 구현은 read_int 를, write 는 print_int 를 사용합니다.
write 할 때 마지막에 print_endline 을 넣지 않습니다.
|
예를 들어, 3번 Excercise를 하면서 코드: | dft(makeLTree(1, leaf (11))) | 따위를 테스트하면 순회를 어떻게 하는지에 관계 없이 "111"이 화면에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애매하고 보기도 불편해지는데, 혹시 이런 경우에 "111"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의도하신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
|
위로 |
|
 |
김용기
가입: 2014년 9월 30일 올린 글: 11
|
올려짐: 2014년10월7일 18:18 주제: |
|
|
과 같이 번호를 다르게 하시면 될 것 애매함은 없을 것 같습니다. 불편하긴 하겠지만요..
채점의 편의를 위해서 줄바꿈 표시하지 않도록 정한 듯 합니다.
학생수가 많으니 어쩔수 없는 것 같네요.  |
|
위로 |
|
 |
강동옥
가입: 2009년 9월 18일 올린 글: 602
|
올려짐: 2014년10월7일 19:28 주제: |
|
|
네, 위에 김용기 씨가 답변하신 대로, 테스트 케이스에서는 애매함이 없는 결과가 나오도록 할 것입니다. 채점의 편의를 위해 결정된 상황이며, 마지막에 print_endline 없는 상태로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위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