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
| 글쓴이 |
메시지 |
장민석
가입: 2006년 9월 5일 올린 글: 165
|
올려짐: 2006년9월21일 22:37 주제: 윈도에서 소스 코드 한글이 깨져 나옵니다. |
|
|
1. 윈도에서 울트라 에디트-32로 코딩을 하고 있습니다. K-인터프리터 뼈대를 받아 2.n을 열어보니 "도스 형식 파일이 아닙니다"라는 메세지가 나오던데요, 이건 아마 줄바꿈 문자 문제인 것 같아서 그냥 무시하고 편집을 했습니다.
그런데 소스의 한글 주석 부분이 전부 깨져 보이네요. 윈도에서 한글을 제대로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2. ropas에 올라와있는 "ultra edit mode for nML (강현구)"을 받아서 잘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울트라에디트에서는 작은 따옴표로 묶인 부분을 전부 문자열로 인식하는지 'a 와 같은 걸 쓰면 그 이후의 모든 코드에 문자열 하이라이팅이 적용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혹시 해결책을 아시는 분 계신가요? |
|
| 위로 |
|
 |
장민석
가입: 2006년 9월 5일 올린 글: 165
|
올려짐: 2006년9월21일 23:27 주제: |
|
|
윽...2번 문제는 해결했습니다.
원래 ropas에 올라와 있던 wordlist 파일 설정이 다음과 같이 되어 있었습니다.
| 코드: | | /L12"n" Line Comment = // Block Comment On = (* Block Comment Off = *) String Char = " Escape Char = \ File Extensions = n ny nl |
처음엔 울트라에디트 버그인 줄 알았습니다만, ropas에 올라와있던 wordlist파일의 오류였습니다. 실험해보니 아래가 올바른 설정이네요.
| 코드: | | /L12"n" Line Comment = // Block Comment On = (* Block Comment Off = *) String Chars = " Escape Char = \ File Extensions = n ny nl |
즉 String Char 가 아니라 String Chars로 써야 하네요. 이 문법 오류 때문에 Stirng... 부분이 의도대로 제대로 반영이 되지 않았고 디폴트 값인 '와 "가 문자열 구분문자로 설정된 것이네요.
"ultra edit mode for nML (강현구)" 파일 중 readme.txt를 수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자문자답이네요.;;; |
|
| 위로 |
|
 |
이희종
가입: 2006년 3월 7일 올린 글: 50
|
올려짐: 2006년9월22일 12:45 주제: |
|
|
| 인용: | 1. 윈도에서 울트라 에디트-32로 코딩을 하고 있습니다. K-인터프리터 뼈대를 받아 2.n을 열어보니 "도스 형식 파일이 아닙니다"라는 메세지가 나오던데요, 이건 아마 줄바꿈 문자 문제인 것 같아서 그냥 무시하고 편집을 했습니다.
그런데 소스의 한글 주석 부분이 전부 깨져 보이네요. 윈도에서 한글을 제대로 볼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파일이 utf-8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에디터의 인코딩 설정을 utf-8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gvim을 쓰시는 분은 :set enc=utf-8 을 입력하시면 제대로 보입니다. 다른 에디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에디터에서 인코딩에 관련된 옵션을 찾아 바꿔주세요. 한글이 보이지 않아도 숙제하는데에 큰 지장은 없으니 깨진 부분은 그냥 무시하셔도 됩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
|
| 위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