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
글쓴이 |
메시지 |
minjoonchoi08
가입: 2024년 3월 16일 올린 글: 12
|
올려짐: 2024년5월28일 23:39 주제: [HW7 4번] 뼈대코드 문의 |
|
|
안녕하세요, 4번 문제를 풀려고 보니 뼈대코드에 생각보다 주어진게 적어서 궁금한점 문의드립니다.
1. check 함수 외에는 추가로 구현할 것이 없나요? semantics에 등장하는 감마 등의 장치들이 전혀 보이지 않는데, 이것들은 필수적으로 직접 추가해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2. 해당 문제도 수업시간에 배운것만으로 바로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난이도가 꽤 있는데, 시작할 때 취할만한 접근 방법을 조금만 제공해주시면 너무나 감사하겠습니다. 말씀드린것처럼 뼈대코드도 얼마 없어서 너무 감이 안잡힙니다.
항상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
위로 |
|
 |
이재호 Site Admin
가입: 2022년 3월 6일 올린 글: 209
|
올려짐: 2024년5월29일 14:37 주제: |
|
|
안녕하세요,
이번 뼈대코드가 다른 뼈대코드보다 구현된 것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사실입니다.
조금 막막하실 수도 있지만... 반대로 어떤 방식으로 구현하시던지 단순 타입체커가 된다면 정답입니다.
감마 (타입 환경) 등을 구현하실 때는 associated list, OCaml map 등 어떠한 자료구조를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내장된 표준 라이브러리에 포함만 되어있다면요)
교수님께서 수업 시간에 설명해주셨던 "방정식 모으기 후 풀기" (오프라인 방식) 혹은 W/M 알고리즘 (온라인 방식) 어떠한 알고리즘을 구현하셔도 좋습니다.
방정식을 모으고 푸신다면 방정식을 어떻게 자료구조로 나타낼지 고민을 하셔야겠지요.
뼈대코드가 없기 때문에, OCaml의 여러 기능들을 익힐 수 있는 test bench로 활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직접 OCaml 모듈도 사용해보고, 이해해보고, 타입도 정의해볼 수 있겠지요.
지금까지 나누어 드린 뼈대코드들의 구조를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학기 초 튜토리얼에 알려드린 여러 OCaml 학습 자료를 참고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조교 드림
TA 이재호
e-mail: jhlee@ropas.snu.ac.kr |
|
위로 |
|
 |
minjoonchoi08
가입: 2024년 3월 16일 올린 글: 12
|
올려짐: 2024년5월29일 20:48 주제: |
|
|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될것 같습니다! |
|
위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