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
| 글쓴이 |
메시지 |
정우근
가입: 2009년 9월 23일 올린 글: 6
|
올려짐: 2009년11월13일 16:01 주제: 숙제 5-1번 질문입니다 |
|
|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은 -5에서 +5까지의 정수. 그 이외의 값을 변수가 가지게 되면 현재상태로 실행 끝
이라는 부분에 대해서 질문인데요.
실행 끝이라 함은 프로그램 싹쓸이의 실행 전체의 끝을 말하는건가요.
아니면 그 cmd의 실행을 끝내고 그때까지의 실행 결과로 나머지 cmd를 실행하는건가요?
예를들어
x := 1; (x := x+1)*; x:=x-1
의 경우 리턴값이
[1,2,3,4,5]((x := x+1)*수행중 6을 state로 가지게 되어 싹쓸이를 종료하고 값을 리턴)
이 되는건가요 아니면
[0,1,2,3,4]((x := x+1)*수행중 6을 state로 가지게 되어 그 cmd의 실행을 멈추고 다음 cmd를 시행)
이 되는건가요? |
|
| 위로 |
|
 |
blindblue
가입: 2009년 11월 14일 올린 글: 5
|
올려짐: 2009년11월15일 2:47 주제: |
|
|
| 저도 이거 때문에 헷갈리네요 ㅠ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
|
| 위로 |
|
 |
신기정
가입: 2009년 9월 15일 올린 글: 83
|
올려짐: 2009년11월15일 7:56 주제: 음 |
|
|
다음 cmd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종료합니다.
예를 들어서
testset 중에
x=6;(x=x-1)* 이런게 좋은 예이겠네요.
초기 state를 1로 넣고 이 test를 실행하면
6을 대입한 후.
이거 뭥미?해서
현재 state 1을 로 명령을 종료합니다.
뒤에 명령은 실행하지 않습니다. |
|
| 위로 |
|
 |
장수원
가입: 2008년 9월 26일 올린 글: 167
|
올려짐: 2009년11월16일 10:12 주제: Re: 숙제 5-1번 질문입니다 |
|
|
| 정우근 씀: | 실행 끝이라 함은 프로그램 싹쓸이의 실행 전체의 끝을 말하는건가요.
아니면 그 cmd의 실행을 끝내고 그때까지의 실행 결과로 나머지 cmd를 실행하는건가요?
|
문서에 나와 있는대로 프로그램 실행이 끝납니다. 싹슬이가 끝나는 지 여부는 관계가 없습니다.
| 정우근 씀: |
예를들어
x := 1;
(x := x+1)*;
x:=x-1
의 경우
|
'"싹슬이"란 모든 가능한 경우를 실행하는 것'이므로, 위의 경우 싹슬이하면 [0;1;2;3;4;5] 가 됩니다. 0의 경우는 (x := x + 1) 가 한번도 실행되지 않은 경우, 5의 경우는 (x := x + 1)이 실행되다가 5를 초과하여 중간에 실행이 멈춘 경우 입니다. |
|
| 위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