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전 주제 보기 :: 다음 주제 보기 |
글쓴이 |
메시지 |
안준환
가입: 2010년 9월 2일 올린 글: 12
|
올려짐: 2010년9월20일 14:26 주제: 숙제 2-2 질문 |
|
|
1. X의 값을 알 수 없는 경우 어떤 예외를 발생시켜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2. division by zero에 대한 처리가 필요한가요?
3. SIGMA를 계산할 때 구간이 정수가 아닐 경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맞나요? 예를 들자면
코드: | SIGMA(FLOAT 1.0, FLOAT 3.2, X)
SIGMA(INT 1, FLOAT 1.2, X) |
와 같은 경우에 대해서입니다.
4. INT와 REAL 사이의 연산, INTEGRAL에 정수 구간이 주어진 경우 등은 정수를 실수로 implicit하게 cast해서 계산하면 되나요?
4. INTEGRAL에서 구분구적법을 수행할 때 구간의 왼쪽 값을 기준으로 하는지 혹은 오른쪽 값을 기준으로 하는지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정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5. INTEGRAL에서 구간의 길이가 0.1의 배수가 아닌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코드: | INTEGRAL (REAL 1.11, REAL 2.0, X)
INTEGRAL (REAL 0.01, REAL 2.04, X)
INTEGRAL (REAL 1.0, REAL 2.01) |
|
|
위로 |
|
 |
조성근
가입: 2009년 9월 14일 올린 글: 283
|
올려짐: 2010년9월21일 20:23 주제: Re: 숙제 2-2 질문 |
|
|
안준환 씀: | 1. X의 값을 알 수 없는 경우 어떤 예외를 발생시켜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exception FreevarError
를 정의하시고 이를 발생시켜 주세요.
안준환 씀: | 2. division by zero에 대한 처리가 필요한가요? |
exception DividedByZero
를 정의하시고 이를 발생시켜 주세요.
안준환 씀: |
3. SIGMA를 계산할 때 구간이 정수가 아닐 경우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맞나요? 예를 들자면
코드: | SIGMA(FLOAT 1.0, FLOAT 3.2, X)
SIGMA(INT 1, FLOAT 1.2, X) |
와 같은 경우에 대해서입니다. |
SIGMA의 첫 번째 인자와 두 번째 인자에는 INT만이 들어온다고 가정합니다.
안준환 씀: |
4. INT와 REAL 사이의 연산, INTEGRAL에 정수 구간이 주어진 경우 등은 정수를 실수로 implicit하게 cast해서 계산하면 되나요? |
예.
안준환 씀: |
4. INTEGRAL에서 구분구적법을 수행할 때 구간의 왼쪽 값을 기준으로 하는지 혹은 오른쪽 값을 기준으로 하는지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정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
구간의 왼쪽 값을 기준으로 해 주세요.
http://en.wikipedia.org/wiki/Rectangle_method
에서의 Top-left corner approximation 방식입니다.
안준환 씀: |
5. INTEGRAL에서 구간의 길이가 0.1의 배수가 아닌 경우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코드: | INTEGRAL (REAL 1.11, REAL 2.0, X)
INTEGRAL (REAL 0.01, REAL 2.04, X)
INTEGRAL (REAL 1.0, REAL 2.01) |
|
integral(1.0, 1.15, f) 처럼 알갱이 0.1 보다 작은 구간이 생길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나머지 구간도 보존해서 계산합니다. 즉 위 구간은 두 개입니다. 1.0 ~ 1.1 구간과 1.1~1.15 구간입니다. |
|
위로 |
|
 |
|
|
새로운 주제를 올릴 수 없습니다 답글을 올릴 수 없습니다 주제를 수정할 수 없습니다 올린 글을 삭제할 수 없습니다 투표를 할 수 없습니다
|
Powered by phpBB 2.0.21-7 (Debian) © 2001, 2005 phpBB Group Translated by kss & drss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