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파스 Site Admin
가입: 2012년 9월 9일 올린 글: 280
|
올려짐: 2012년10월21일 21:15 주제: 5-1에서 리턴형식 관련 질문입니다 |
|
|
5-1 문제에서 기본무늬는 tree도 될수있고 array도 될수있다고하셨는데,
굳이 기본무늬가 tree? 와 array?에 대해 true가 되게 속구현을
구성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겉으로 드러나는 인터페이스 glue 나 rotate등의 리턴형식은
tree가 되던 array가 되던 상관이 없는것이라고 알고있는데,
glue 나 rotate연산은 tree형태일때 더 간단하고, pprint함수의 경우
array형태일때 더 간단합니다. 각각의 함수를 구현할때
더 편리한 구현을 이용하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기본무늬를 tree와 array둘 모두에
대해 true가 되도록 구현하려면 또다시 tree와 array속구현으로 들어가서 예외처리를
일일이 해주어야 하는데, 겉으로 드러나는 속구현인 기본무늬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편의를 위해 짠 속구현인 tree array 둘 모두에 속하게 해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tree나 array모두에 속하게 만들지 않으면 어떤 오류나 결점이 발생하는지 알고싶습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인터페이스 함수들이 모두 정상작동한다는 가정하에서요) |
|